티스토리 뷰
목차
FIFA 월드컵 64개국 확대 추진? 중국 등 참가 기회 얻는 나라들 정리
국제축구연맹(FIFA)이 2030년 월드컵 참가국 수를 64개국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공식 검토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며 전 세계 축구 팬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기존 48개국 체제도 아직 자리 잡지 않은 상황에서, 또다시 참가국 확대가 논의된다는 것은 축구계에 적지 않은 파장을 불러올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은 FIFA 월드컵 64개국 확대 방안의 주요 배경과 함께, 중국을 포함해 수혜가 예상되는 축구 국가들까지 살펴보겠습니다.
FIFA, 월드컵 64개국 확대 검토 중
FIFA는 오는 2030년 월드컵을 창설 100주년 기념 대회로 삼고자 하는 움직임 속에, 월드컵 참가국을 64개국으로 확대하는 안건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 제안은 남미축구연맹(CONMEBOL)에서 먼저 제안했으며, FIFA는 이를 정식 안건으로 채택해 분석을 진행 중입니다.
- 📅 최종 결정 시점: 2025년 5월 FIFA 집행이사회 (파라과이 예정)
- 📌 현재 체제: 2026년 북중미 월드컵부터 48개국 참가
- ➕ 확대안 적용 시점: 2030년 월드컵부터 64개국 참가 가능
FIFA가 이와 같은 결정을 추진하는 배경에는 방송 중계권, 스폰서 수익, 입장권 매출 확대 등 경제적 이유가 크게 작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륙별 대표성을 강화해 전 세계 축구 팬들과의 연결고리를 넓히려는 전략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참가국 확대 시 예상되는 대륙별 티켓 분배
64개국 체제가 확정된다면, 가장 큰 변화는 각 대륙에 할당되는 티켓 수의 확대입니다. 대략적인 추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륙 | 기존(48개국 체제) | 64개국 확대 예상 |
아시아 | 8.5장 | 10~12장 |
아프리카 | 9.5장 | 11~13장 |
유럽 | 16장 | 18~20장 |
북중미 | 6장 | 8장 이상 |
남미 | 6.5장 | 8장 이상 |
오세아니아 | 1장 | 1.5~2장 |
이처럼 아시아와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등 신흥 축구 대륙의 월드컵 본선 진출 가능성이 크게 높아지게 됩니다.
중국, 인도, 우즈벡… 수혜가 기대되는 국가들
FIFA 월드컵 64개국 체제가 현실화될 경우, 그동안 월드컵 본선 진출에 번번이 실패했던 국가들에게도 새로운 기회가 열릴 전망입니다. 대표적인 수혜 후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중국
중국은 2002년 한일 월드컵 단 한 차례 본선에 진출했지만, 이후 매번 지역 예선에서 좌절을 맛봤습니다. 하지만 월드컵이 64개국으로 확대된다면, 아시아 티켓 수 증가로 인해 본선 진출 가능성이 매우 높아집니다. 이는 시진핑 정부의 ‘축구 굴기(足球崛起)’ 정책과도 맞물려 중국 축구계 전반에 활기를 불어넣을 수 있습니다.
인도
인구 대국임에도 불구하고 월드컵과는 인연이 없었던 인도 역시, FIFA가 확대를 통해 노리는 잠재 시장 중 하나입니다. 최근 인도 내 축구 열기가 높아지고 있으며, 인프라와 리그 투자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만큼 향후 본선 진출의 현실 가능성이 열립니다.
우즈베키스탄
AFC 내에서 꾸준한 실력을 보여주고 있으나, 매번 벽에 가로막혀 왔던 우즈벡 역시 64개국 체제의 최대 수혜국 중 하나입니다. 안정적인 유소년 시스템과 중동·동아시아 간 가교 국가로의 성장 가능성까지 고려하면 FIFA도 전략적으로 우즈벡 진출을 선호할 수 있습니다.
유럽과 남미의 반발도 존재
하지만 모든 축구 국가가 이번 확대안을 반기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UEFA(유럽축구연맹)는 이미 48개국 체제만으로도 경기 수준 저하와 선수 과부하 문제를 겪고 있다고 지적해왔습니다.
따라서 64개국 확대안이 현실화될 경우 유럽 및 남미 일부 국가들의 반발도 거세질 수 있습니다.
경기 수 증가 → 선수 피로 누적
경기 질 저하 → 팬 관심도 감소 우려
일정 부담 → 리그/대회 간 충돌
이런 부작용을 얼마나 잘 설계하고 보완할 수 있을지, FIFA의 향후 결정 과정에 전 세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마무리: FIFA 월드컵의 변화, 그리고 글로벌 축구의 미래
FIFA의 64개국 월드컵 확대안은 단순히 참가국 수의 증가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그것은 글로벌 축구의 판도를 바꾸고, 그동안 소외되었던 대륙과 국가들이 본격적으로 무대 위에 오를 수 있는 새로운 시대의 서막이 될 수 있습니다.
더 많은 나라, 더 다양한 경기, 더 넓어진 무대— 물론 도전과 우려도 있지만, 월드컵이 진정한 글로벌 스포츠 축제로 거듭나는 계기가 될 수도 있습니다.
태군노래자랑 시즌3, 전국이 무대다! 박군 X 나태주의 끼 넘치는 노래방이 돌아왔다
태군노래자랑 시즌3, 전국이 무대다! 박군X나태주의 끼 넘치는 노래방이 돌아왔다 2025년 봄, 다시 한 번 전국을 들썩이게 할 예능이 돌아옵니다. 바로 태군노래자랑 시즌3입니다. 트로트 스타
new.j-nest.com